주요 내용으로 이동하기
Mobile Menu Button

도는 자연을 따른다-도교 경전과 서적 전시

  • #도서문헌

전시소개

일반적으로 「도가(道家)」와 「도교(道教)」는 서로 관계가 있지만 각자 다른 개념이며, 이 둘은 동등하지 않다고 여겨졌습니다. 「도가」는 진나라 이전 제자백가(諸子百家) 중에서 노장(老莊)사상을 대표로 하는 학파로 전국시대에서 진나라와 한나라 시기까지 성행했던 황로(黃老)의 학문으로 「도」를 궁극적인 경지로 하며 「마음을 깨끗이 하고 작위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법칙에 따라 자신을 수양하고 나라를 다스리기도 하였습니다:「도는 자연을 따른다」라는 개념으로 사람과 안과 밖, 천지 사이의 관계를 마주하였습니다. 「도교」는 종교적인 실체로 「도(道)」를 통하여 교화하거나 수련하여 「신선이 되어 도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하나의 종교로서 도교는 경전과 교리, 제도, 의식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역사적인 발전에 따라 성립된 교파와 장소가 있습니다. 이렇게 구체적인 종교적인 전통은 초기의 황로(黃老)학파나 도사 사상과 이미 현저하게 다릅니다; 그러나 「도가」는 「도교」 신앙과 교리의 연원으로 이 둘을 함부로 나누어 놓을 수는 없습니다.

《사고전서(四庫全書)》편집을 주관한 지사오란(紀曉嵐)은 도교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광대하면서 깊고 심오하다」라고 하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실제로 도교 1800년 역사 발전 과정에 반영이 되어 있습니다. 진나라 이전의 노장 경전을 모으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오랜 기간의 종교 활동을 거쳐 한나라부터 그 이후의 방술(方術), 수술(數術), 길흉화복을 점치는 예언과 불교 경전에 이르기까지 모두 소화 흡수하여 점차 교의와 계율, 안과 밖의 수련, 의식과 의례와 관련된 책의 종류는 많고 방대해 졌으며, 복잡하고 다양한 각종 경전이 형성되었습니다.

도교신앙은 수나라와 당나라에서 북송대에 이르기까지 황실과 귀족들의 존경을 받으며 더욱 번성하였고 사회적인 영향력 역시 컸습니다. 그 교리 사상, 기의 단련과 건강을 유지하는 기술, 부적과 주문, 의식 체계 등이 더욱 갈수록 완성도가 높아졌습니다. 당 후기부터 북송이후에는 단전안의 정기를 수련하는 것을 위주로 하는 금단도파(金丹道派)가 두각을 나타내었습니다. 남송부터 송나라, 금나라와 원나라 시기까지는 화북(華北) 지역에서는 전진(全真), 태일(太一), 진대도(真大道) 등의 새로운 교파가 나타났으며 남쪽에서도 신소(神霄), 청미(清微), 정명(淨明) 등의 새 교파가 출현하였습니다. 명대에는 도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황제들이 여러 명 있었는데 영락제와 가정황제를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청대에는 황실의 신앙이 불교를 위주로 하여 도교의 발전은 점차 쇠퇴하고 이전만 같지 못했습니다.

고궁박물원이 소장하고 있는 도교 경전과 서적들은 원나라와 명나라 때의 것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수량이 비록 불교 경전만큼 많지는 않지만 「황실 소장의」 진귀하고 희귀한 판본이 적지 않습니다. 이번 전시는 도가 경전의 근본, 도교 경전의 정교한 판본, 제왕과 도, 양생으로 수명을 연장하다 라는 네 개의 주제로 나누어집니다.

TOP